🔎아티클 스터디 : 표와 데이터 셋

2024. 2. 23. 23:47학습/팀스터디

 

1. 오늘의 아티클(주제)


[쉽게 배우는 AI] 4. 표와 데이터 셋 | 요즘IT (wishket.com)

 

[쉽게 배우는 AI] 4. 표와 데이터 셋 | 요즘IT

무작위하게 흩어져있는 데이터를 정리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좋을까요? 보통 표와 그래프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정리된 데이터 상태를 보고 싶을 때는 표를, 변화의 흐름이나 정도 등을

yozm.wishket.com

 

2. 아티클 정보 요약


  1. 무작위로 흩어진 데이터들을 ""라는 시각화 도구를 사용하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2. 번외로 변화의 흐름이나 정도는 그래프를 사용하면 좋다.
  3. 표는 데이터들의 모임이다. 그래서 "데이터 셋"(data set)이라고도 불린다.
  4. 앞으로 데이터 셋이라고 하면 "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5. 표로 정리된 데이터에 "머신러닝"까지 합해진다면?
  6. = 컴퓨터는 단순 계산에서 벗어나 "인간의 통찰력"을 흉내낼 수도 있게 된다.
  7. 데이터 셋은 개체를 행에 넣고, 개체의 특성을 열로 구분한다.
  8. 현업에서는 맥락에 따라 다양한 단어로 구분하니 알아두도록 한다.

 

1. 열(column)
2. 행(row)
feature (특성) instance (개체)
attribute (속성) observed value (관측치)
variable (변수) recode (기록)
field (필드) example (사례)
  case (경우)

 

3. 인사이트


  1. 세로 열은 컬럼, 특성, 속성, 변수 필드라고 불린다.
  2. 가로 행은 개체, 관측치, 기록, 사례, 경우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