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77일차 : 판다스입문 1회독 끝

2024. 3. 5. 15:47회고/TIL(매일)

 

✏️도전한 점


  1. 어제 진행이 안되던 부분을 손봤지만 여전히 안된다.
  2. 판다스입문 12장 완료, 14시 팀스터디
  3. 판다스입문 시계열 부분이 어려워서 따로 정리한다.
  4. 셀리니움 실습 해보자 > 24시 완료 크아아

 

01 판다스입문 시계열 데이터 - shift()


  1. 정확히 어려운 부분은 이해가 어렵다는 것이다.
  2. 일단 마라톤처럼 시작점이 같아야 한다는 건 이해했다.
  3. 시작점을 같게 만들기 위한 과정임을 잊지 않는다.

 

02 continue 헷갈리는 점


for i in range(1, 6):
    if i == 3:
        continue
    print(i)
1
2
4
5

 

  1. 작동 순서: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반복하면서, 만약 숫자가 3인 경우에는 'continue' 문을 사용하여 현재 반복을 건너뛴다. 기억해. 건너 뛴다. 따라서 3은 출력되지 않고, 나머지 숫자들이 출력된다.

 

03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 복습


  1. 역 변수(Global variable)와 지역 변수(Local variable)는 프로그래밍에서 변수의 범위와 생존 기간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2.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접근 가능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이다.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존재하며, 여러 함수나 블록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반면에, 지역 변수는 특정 함수나 블록 내에서 정의되고 사용되는 변수이다. 지역 변수는 해당 함수나 블록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지역 변수는 해당 함수나 블록이 실행될 때 생성되고, 실행이 종료되면 소멸된다.
  4.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는 변수의 범위와 생존 기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5.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의 다양한 부분에서 값을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변수의 값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지역 변수는 특정 함수나 블록에서만 사용되므로 변수의 범위와 생존 기간을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04 셀레니움 12회 반복문 nn회차 성공 현재 24시🥹


 

Q. 함수가 자동으로 결측치를 채워주면서 작동할 수 없을까? 수작업 너무 슬프다고.

 

if i == 1 and index_num == 202305:
    bookpage.insert(12, NaN)
elif i == 2 and index_num == 202304:
    bookpage.insert(7, NaN)

 

✏️기타 인사이트


Q. index_number ==1 일 때 "pass" 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정확한 이유가 궁금했다.

- pass: 그냥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다.  반복문은 조건이 맞는 동안 계속 돌아간다.
- continue: 반복문 안에서 아무 것도 안하고 다음 (가장 가까운) 반복문으로 이동한다.


(다만, 보통은 pass는 코드 블록을 비워둘 때 사용하고, continue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현재 반복을 중지하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는 용도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