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52일차: 딕셔너리, Counter()로 같은 기능 구현

2024. 5. 31. 22:40회고/TIL(매일)

 

✏️도전한 점


1. 데이터분석 아티클 스터디

2. 다음 주 일주일 간 아티클 스터디 휴식!

 

01 기억할만한 pandas 코드


import pandas as pd
list = pd.Series([2,2,3,4,2])
example = pd.Series(list>2)
number = list.value_counts()[2]
number
>>> 결과
3

 

💡리스트 형태의 시리즈라는 자료형에서 2가 몇 번 들어가 있는지 카운트할 수 있다. (리스트는 불가) 알쿼리즘 스터디에서 나온 코드인데 [5,10,10,10,20,20] 라는 리스트를 카운팅 할 수 있을까 시도해 봤으나 실패했다.

 

02 같은 기능 구현


위에 언급된 시리즈의 value_counts()를 다른 방법으로 구현해보고 싶었다.

 

1) 딕셔너리 keys는 중복이 안된다. 이걸 이용한 방법이다. += 1로 value를 하나씩 더할 수 있다.

 

 

2) 더 간단하게 Counter 클래스를 이용한 방법이다. counter객체변수.values() 코드를 이용한다.

 

 

03 아티클 스터디


 

🔎아티클 스터디: 스마트하게 머신러닝 적용하는 방법 - AutoML

1. 오늘의 아티클(주제) 스마트하게 머신러닝 적용하는 법: ①AutoML이란? | 요즘IT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 중 단연코 가장 인기가 많은 것은 머신러닝입니다. 머신러닝은 빅데이터의 활

specialda.tistory.com

💡 튜터링 시간 마지막 쯤 상담을 받은 기억이 있는데 자동화에 대한 책을 찾아보다가 머신러닝 자동화에 대한 책을 봤다. 머신러닝도 이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드렸던 적이 있다. 시기상조라는 답변을 들었고 공감했다. 이제는 ai를 활용하여 머신러닝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인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아티클이 나온다. 결국 변화는 피할 수 없을 것이고 우리는 준비를 해야 한다!

'회고 > TIL(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54일차: 기술 통계  (0) 2024.06.04
TIL 153일차  (0) 2024.06.03
TIL 151일차  (0) 2024.05.29
TIL 150일차  (0) 2024.05.27
TIL 149일차  (0)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