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62일차: 개발을 하면 일어나는 일들

2024. 6. 14. 14:44회고/TIL(매일)

 

✏️도전한 점


1. 아티클 요약: 지지플랏 블로그

2. 개발을 하면 일어나는 일들: 독서

 

01 아티클 스터디


 

🔎아티클 스터디: 가중평균, 조화평균, 재현율과 정밀도

1. 오늘의 아티클(주제) (1) DSforS : Chap 1 탐색적 데이터분석 1.1 ~ 1.4데이터 과학통계 1.1. ~ 1.4.에서는  탐색적 데이터분석의 사례를 소개한다. 1.1 정형화된 데이터의 요소1.2 테이블 데이터1.3 위치

specialda.tistory.com

 

02 개발을 하면 일어나는 일들 (백지노트)


[키워드] 컴퓨터, 운영체제,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개발자, 서버 개발자, API 문서, CRUD

 

- 우리의 일상은 전자기기들과 떼어놓을 수 없다. 우리 주변엔 많은 기기들이 있다. 그들의 공통점은 바로 컴퓨터라는 점이다. 컴퓨터는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HDD, SSD)와 같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고 우리가 직접 컴퓨터를 제어해서 사용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를 대신해서 운영체제가 그 일을 한다. 대표적으로는 윈도우, Mac OS, iOS, 안드로이드가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 위에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이 클라이언트 개발자이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 서버 사이드에도 서버 컴퓨터가 존재한다. 이들도 클라이언트와 마찬가지로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를 가지고 있다. 이들도 직접 제어하지 않고, 운영체제가 존재한다. 많은 이들이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사용한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안정적이고 무료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운영체제 위에는 프로그램을 돌린다. 클라이언트와 마찬가지로 서버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서버 컴퓨터에 돌리는 사람이 서버 개발자이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만들어지면 이 둘은 API를 통해 요청을 하고 응답을 받는다. 서버가 기능을 제공하면 클라이언트는 그 기능을 사용한다. 소통할 때 성공하면 200번대의 숫자로 표현하고, 클라이언트 문제면 서버는 400번대의 에러 코드를 보내며 서버의 문제면 500번대의 에러 코드를 보낸다. (추가) API는 특정한 주소와 메소드 POST, GET, PATCH, PUT, DELETE로 이루어져 있고, 메소드는 각각 CRUD와 매치된다.

 

- 서버 개발자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기능을 만든 뒤, 각 기능에 맞춰 API를 만들고 API 문서를 작성한다. 그럼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API 문서를 보며 특정 주소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잊지말 점


- 예를 들어, 웹과 iOS,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통해 피씨와 모바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웹 클라이언트 개발자, iOS 개발자, 안드로이드 개발자, 서버 개발자까지 총 4명의 기능을 하는 인력이 필요하는 것을 이해하고 그들이 각각 어떤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는지 알고 있다면 앞으로 협업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