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68일차: from scipy.stats import norm

2024. 6. 24. 23:49회고/TIL(매일)

 

✏️도전한 점


1. 아티클 스터디 및 요약

2. 파이썬 코드 훈련 3문제

 

01 필요한 표본 크기


 

🔎아티클 스터디: 필요한 표본의 크기 구하기🤔🤔🤔

01 오늘의 아티클(주제) (6) DSforS : Chap 3 통계적 실험과 유의성 검정 3.4 ~ 3.8.1. 목차3.4. 통계적 유의성과 p값3.5. t검정3.6. 다중검정3.7. 자유도3.8. 분산분석  2. 본문3.4. 1종오류와 2종오류1종 오류:

specialda.tistory.com

- 유의 수준과 검정력을 바탕으로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구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시간이 꽤 걸렸다.

 

02 문자열 거꾸로 만들기


 

문자열을 거꾸로 만드는 슬라이드 표기법

01 정답 코드def solution(n): result = [] while True: if n == 0: break answer = divmod(n, 10) n = answer[0] result.append(answer[1]) return resultdef solution(n): return list(map(int, (str(n)[::-1])))전자의 코드는 기존에 풀었던 방법이다.

specialda.tistory.com

- 코드 훈련 스터디 과정에서 문자열을 거꾸로 만드는 슬라이드 표기법을 실습했다.

 

✏️깨달은 점


- 오늘은 유의 수준과 검정력을 바탕으로 표본을 구하는 과정을 따라가면서 코드 실행도 해봤다. 주어진 코드에 어떤 오타가 있어서 실행이 안 되는 지도 체크했고 어려운 개념들을 찾아가면서 이해하는 과정도 겪었다.

 

- 이렇게 학습을 하다보니 학습범위 한가운데 툭 떨어뜨려서 범위를 점차 넓히며 학습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신 분이 생각났다. 과목마다 다르지만 통계도 이런 방법으로 학습하는게 나한테 맞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언제까지 선사시대만 공부하면서 근현대 근처도 못가고 있을 건가? 다양한 학습 방법이 있고 나한테 맞는 건 무엇일지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