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스터디: 뽑히는 개발자의 이력서
2024. 7. 2. 12:56ㆍ학습/팀스터디
01 오늘의 아티클
뽑히는 개발자 이력서는 어떻게 만드나요? | 요즘IT
25년 차 개발자로 꾸준히 멘토링을 하다 보니 신입 개발자의 이력서를 볼 일이 많습니다. 신입 또는 경력이 짧은 주니어 엔지니어의 이력서는 대체로 비슷합니다. 조금 과장해 표현하면, 이름과
yozm.wishket.com
02 아티클 정보 요약
- 상대방 머리에 나를 모델링하는 이력서가 중요하다. 수상경력, 프로젝트, 학력사항 모두 다 좋다. 하지만 이것들이 보여주고 싶은 나보다 빛나서는 안된다. 프로젝트가 이력서의 주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먼저, 보여주고 싶은 나를 한 줄로 작성하고 나에 대한 이미지에 맞게 모든 항목을 조절하는 게 필요하다. 25년 차의 개발자이지만 이력서 앞단에 20년 된 프로젝트를 배치할 때도 있음을 배웠다. 그들에게 나의 어떤 강점을 먼저 보여주는 게 좋을지, 왜 이런 프로젝트를 하게 됐는지가 우선이다.
03 인사이트
- 신입의 이력서 작성은 데이터 분석과도 같다고 느껴졌다. 그래서 뭘 해야 하는데? 에 대한 대답을 주는 처방 분석과 그래서 너는 어떤 사람인데?라는 질문에 대답이 될 이력서 작성이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처음에 예시를 들었던 마션의 도입부도 신선한 깨달음을 주었다. 나에 대한 흥미를 크게 유발하고 그 흥미의 텐션을 유지하는 것이 신입 이력서 작성에 가장 중요한 점임을 잊지 말자. 신입에게 요구하는 것은 대단한 전문 기술이 아니다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람인지,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가 중요하다.
'학습 > 팀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스터디: 적성따라 직군 바꾸기 (0) | 2024.07.04 |
---|---|
🔎아티클 스터디: 3달 만든 코드를 모두 엎고 배운 것 (0) | 2024.07.03 |
🔎아티클 스터디: 데이터로 프로덕트 문제를 탐구하는 방법 (0) | 2024.07.01 |
🔎아티클 스터디: GPT 발전 역사 돌아보기 (0) | 2024.06.28 |
🔎아티클 스터디: A/B 테스트를 완성하는 통계 분석 개념 잡기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