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13. 17:53ㆍ학습/팀스터디
1. 오늘의 아티클(주제)
신뢰할 수 있는 A/B 테스트 만들기: ③ A/A 테스트와 무작위화 | 요즘IT
앞서 A/A 테스트의 목적과 필요성, 실험 전 편향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실험 전 편향을 A/A 테스트로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무작
yozm.wishket.com
2. 아티클 정보 요약
- 온라인 실험에서 A/A테스트의 실험 전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 무작위화의 마법을 보여줌.
- A/B테스트의 본질적 가치는 우리가 제품에 준 변화로 발생한 순수한 인과적 효과만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여러 빅테크 기업에서도 온라인 실험에 진심일 수밖에 없다. A/A테스트도 그 방법 중 하나이다.
- A/B테스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키워드가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3. 인사이트
- 과거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겠고, 온라인 A/A 시간의 지연이 있을 수 있지만 신뢰할 수 있는에 가까워지는 방법으로 보인다.
해시알고리즘
1) 해시 알고리즘이란?
많은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찾기 위해 사용하는 특별한 방법이다.
2) 비유: 도서관의 책 정리
도서관에서는 책을 빠르게 찾기 위해 도서관 사서가 알파벳 순서대로 책을 정리한다. 이렇게 하면 원하는 책을 찾기가 빠르고 쉬워진다. 하지만 책이 너무 많아서 알파벳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 그래서 사서는 각 책에 고유한 번호를 붙여서 더 잘 정리한다. 따라서 도서기호로 쓰이는 이 번호가 바로 "해시값"이다.
3) 해시 알고리즘의 역할
해시 알고리즘은 책을 정리하는 사서처럼, 많은 정보를 고유한 번호(해시값)로 바꾸어 정리하는 방법이다.
- 고유 번호 만들기: 해시 알고리즘은 각 정보를 숫자나 문자로 된 고유한 번호로 바꾼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를 해시 알고리즘으로 바꾸면 "123" 같은 숫자가 될 수 있다.
- 빠른 검색: 이렇게 고유 번호로 바꾸면, 나중에 그 정보를 찾을 때 훨씬 빨라진다. 도서관에서 책을 번호로 찾는 것처럼 말이다.
'학습 > 팀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스터디: 커널밀도추정, 중심극한정리 (0) | 2024.06.17 |
---|---|
🔎아티클 스터디: 가중평균, 조화평균, 재현율과 정밀도 (1) | 2024.06.14 |
🔎아티클 스터디: ② A/A 테스트와 실험 전 편향 (0) | 2024.06.12 |
🔎아티클 스터디: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 (0) | 2024.06.11 |
🔎아티클 스터디: 우리만의 SNS 만들기(온라인 교환일기) (0)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