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스터디: 북극성 지표와 인풋 정의하기

2024. 8. 13. 10:49학습/팀스터디

 

01 오늘의 아티클


 

북극성 지표와 인풋 정의하기

오늘의 글은 주니어 기획자 및 PMO를 위해 토스 PO세션 이후 노스 스타 플레이북 을 스터디한 내용…

playinpap.github.io

 

02 아티클 정보 요약


- 제품팀의 목표를 '리텐션 개선'으로 두는 것은 적합하지 않음, 이는 후행 지표이기 때문이다.

- 해당 목표를 위해서는 고객 지향적이고 실행 가능한 목표인 '북극성 지표'를 개선하는 게 좋다.

- 북극성 지표란?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핵심적인 가치를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하며 제품을 개발하는 프레임워크이다.

- 비즈니스 모델이 단일한 경우에는 단 하나의 북극성 지표를 갖는다.

- 고객 가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지속가능한 제품 주도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

- 하나이기에 고객 만족을 위한 유저 임팩트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하나이기에 맹신하면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수 없고 균형을 망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북극성 지표 체크리스트>

1. 고객 가치를 담고 있는가?
2. 미래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선행 지표인가?
3.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정의 되었는가?
4.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정의 되었는가?
5. 미래가 보이지 않는 허황된 지표는 아닌가?

 

03 인사이트


- 넷플릭스가 어떤 북극성 지표를 찾아내고 잘 활용했는지 실제 활용방법을 보니 이해가 빨랐다. 협업을 통해 어떤 기준을 통과한 고객이 우리의 장기적인 회원이 될 것인지, 재방문율을 높을 수 있을 것인지, 데이터를 통해 유의미함을 찾아내는 것은 분석가의 업무이니 잘 알아둬야겠다.